본문 바로가기

NAS

[NAS 접속] 유플러스 공유기 사용 시 내부 망 접속 문제

DDNS 주소로 내부망에서 NAS 접속 시 공유기 설정 화면으로 연결되는 문제

예를 들어, 집(내부 망)에 설치된 NAS에 외부(망)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, DDNS 주소를 주로 사용한다.

- 정상적인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이 완료되었다면, 집(내부망), 외부(망) 모두 동일한 DDNS 주소로 NAS에 접속이 가능하여야 한다.

증상 : DDNS 주소를 사용한 접속 시 외부망에서는 접속이 잘 되지만, 내부망에서는 공유기 설정화면으로 연결되는 문제



해결 방안

- 공유기 설정의 [NAT 설정] 항목 중 [DMZ 서버] 설정 화면으로 이동한다.

- 해당 설정 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. (Super DMZ 사용, NAS MAC 주소 등록)

- 해당 설정을 완료하면 공유기 재부팅이 시작되고, 부팅 완료 후 DDNS 주소로 내부망에서도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.

 필자는 유플러스 인터넷 공유기를 사용 중이지만, 타 통신사 인터넷 공유기도 같은 방식으로 설정 가능하리라 판단됨.
본 해결방안은 유플러스 인터넷 서비스 기사님과의 통화를 통해 얻어진 해결방안이며, 보안상의 큰 문제는 없다는 답변을 받음.
Super DMZ 등록을 하게되면 해당 기기의 모든 포트가 열리게 되므로 별도의 포트포워딩 설정은 필요 없음.


※ Super DMZ 설정 이후에도 NAS 접속이 안되는 경우

  1. 기존에 NAS에 할당된 IP 설정이 유효하지 않게 된 경우이므로, Synology Assistan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결한다.
  2. Synology Assistant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해당 기기가 표시된다.
  3. 해당 기기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을통해 [Setup]을 실행하면 IP 설정을 수정할 수 있다.
  4. IP 설정 화면에서 IP 동적할당을 선택하면 IP 설정이 자동으로 완료되며 정상적인 접속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