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AS (8) 썸네일형 리스트형 [NAS 접속] 유플러스 공유기 사용 시 내부 망 접속 문제 DDNS 주소로 내부망에서 NAS 접속 시 공유기 설정 화면으로 연결되는 문제- 예를 들어, 집(내부 망)에 설치된 NAS에 외부(망)에서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, DDNS 주소를 주로 사용한다. - 정상적인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이 완료되었다면, 집(내부망), 외부(망) 모두 동일한 DDNS 주소로 NAS에 접속이 가능하여야 한다. - 증상 : DDNS 주소를 사용한 접속 시 외부망에서는 접속이 잘 되지만, 내부망에서는 공유기 설정화면으로 연결되는 문제 해결 방안 - 공유기 설정의 [NAT 설정] 항목 중 [DMZ 서버] 설정 화면으로 이동한다. - 해당 설정 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. (Super DMZ 사용, NAS MAC 주소 등록)- 해당 설정을 완료하면 공유기 재부팅이 시작되고, 부팅 완.. [Synology] Download Station 임시 위치 설정- 토렌트 다운로드시 임시로 사용하는 별도 드라이브의 경로를 지정- 임시 위치에 설정된 드라이브의 경우 수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- 다운로드 전용으로 사용할 여유 드라이브가 있는 경우 설정 저장 위치 설정- 기본 대상 폴더 : 다운로드 완료 시 실제 파일이 저장되는 경로 설정- 감시 폴더 : 해당 폴더에 토렌트 파일을 넣어주면 자동으로 다운로드 실행 [Synology] Cloud Station 기능- NAS상에 Cloud 저장소를 생성(또는 공유폴더 지정)하여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 -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설치한 환경이라면 항상 NAS의 데이터와 동기화를 통해 데이터 관리 가능- 윈도우용 클라이언트 설치 시 탐색기의 아이콘 상태를 통해 동기화 상태 확인 가능 DSM Cloud Station 패키지 설치- 설치 시 기본 값으로 home\CloudStation 폴더로 경로 지정됨 윈도우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설치- DSM -> Cloud Station -> 다운로드 실행 공유기 포트포워드 설정- cloud Station 내부 포트번호는 6690- 참고 : https://www.synology.com/en-global/support/faq/299 도메인 및 설정한 외부 포트번호를 입력하여 접속 고.. [Synology] XPEnology X VirtualBox - Step 5. DSM 외부 접속 설정 DSM 외부 접속을 위한 설정- 공유기 설정 주소 확인- DDNS 설정- DSM 접속 기본 포트 및 포트포워드 설정- WebDAV 활성화 및 포트포워드 설정 [Synology] XPEnology X VirtualBox - Step 4. DSM 기본 설정 DSM 설치 후 기본 설정 - 볼륨 생성- 공유 폴더 설정 [Synology] XPEnology X VirtualBox - Step 3. DSM(Disk Station Manager) 설치 가상머신(vm)에 DSM(Disk Station Manager) 설치- VM 실행 - Synology Assistant를 활용한 DSM 설치 방법 [Synology] XPEnology X VirtualBox - Step 2. VirtualBox 가상머신(VM) 설정 XPEnology 설치를 위한 VirualBox 가상 머신 생성 및 설정 정보- 가상머신 생성 및 기본설정- 저장소 추가(광학드라이브, 신규/기존 디스크)- 네트워크 설정 [Synology] XPEnology X VirtualBox - Step1. 준비 DSM 설치파일 및 부팅용 파일 다운로드 링크- http://xpenology.me/downloads/ VirtualBox 프로그램 다운로드 링크- https://www.virtualbox.org/ 이전 1 다음